사업주훈련
IT 세일즈 마스터의 시장 분석과 고객 중심 비즈니스 전략(복사)
-
사업주훈련은 사업주( = 사업장 대표)가
소속근로자 등의 직무수행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훈련을 실시할 때
-
이에 소요되는 비용의 일부를 지원해 주는 제도로
사업주 직업능력개발훈련이라고도 합니다.
-
우선지원기업 112,860원 / 중소기업 100,320원 / 대기업 50,160원
-
기업직업훈련카드중소기업의 재직자 직무능력 향상에 필요한 훈련과정을,
한도(500만 원부터 납부 고용보험료의 240%까지) 내
기업훈련 여건 및 수요에 맞게 수강할 수 있는 훈련바우처입니다.
-
HRD-Net에서 지원 가능 금액 및 잔여 한도액 실시간 확인 가능합니다.
전문 훈련기관(올윈에듀) 위탁훈련 시, 자부담(10%) 면제 전액 무료입니다.
-
국민내일배움카드로 강의 수강시, 반드시
HRD-Net에 먼저 수강신청 후 본
사이트에서 수강신청을 해야합니다.
-
수강신청은 회차별
마감일자 기준 당일 자정에 마감
됩니다. (영업일 기준)
-
국민내일배움카드로 만 결제가능하며
학습시작일 기준으로 근로자인
경우에만 수강신청 가능합니다. (실업자 수강불가)
-
K-디지털로 강의 수강시, 반드시
HRD-Net에 먼저 수강신청 후 본
사이트에서 수강신청을 해야합니다.
-
수강신청은 회차별
마감일자 기준 당일 자정에 마감
됩니다. (영업일 기준)
-
K-디지털은 국민내일배움카드로 만 결제가능하며
학습시작일 기준으로 근로자인
경우에만 수강신청 가능합니다. (실업자 수강불가)
학습유형
|
|
학습시작일
|
|
학습기간
|
4주
|
학습시작일
|
|
학습기간
|
4주
|
학습기간
|
|
학습기간
|
|
수료기준 |
진도 80% 이상 , 시험 2회 , 과제 1회
상세보기
|
교육비정가 |
125,400원 |
교육비정가 |
125,400원 |
교육비정가 |
0원 |
교육비정가 |
0원 |
실결제금액 |
교육원 문의 |
실결제금액 |
기업직업훈련카드(훈련바우처) 활용 |
지원금 |
0원 |
지원금 |
0원 |
자비부담금(실 결제금액) |
0원상세보기
국민내일배움카드 유형별 자비부담금
(자비부담금 0원) 일반 국민내일배움카드 대상자
(자비부담금 0원) 자부담률 50% 적용자
(자비부담금 0원) 근로·자녀장려금(EITC)수급자 (50%적용)
(자비부담금 0원) 코로나학번 지원 유형 (15%적용/22년 한시적 허용)
위 유형 외에도 면제대상자(자부담 0%)도 해당되는 유형을 선택후 결제가 가능합니다.
|
자비부담금(실 결제금액) |
0원상세보기
K-디지털은 국민내일배움카드로 만 결제가능 (유형별 자비부담금)
(자비부담금 0원) 일반 국민내일배움카드 대상자
(자비부담금 0원) 자부담률 50% 적용자
(자비부담금 0원) 근로·자녀장려금(EITC)수급자 (50%적용)
(자비부담금 0원) 코로나학번 지원 유형 (15%적용/22년 한시적 허용)
위 유형 외에도 면제대상자(자부담 0%)도 해당되는 유형을 선택후 결제가 가능합니다.
|
과정 소개 |
■ 산업
트렌드를 읽고, 고객 중심
역량을 강화시키는 과정입니다.
•IT
기술 분야의 최신 동향을 파악하여 업계에서 빛나는 지식 전문가로
성장하고, 현재와
미래를 주도할 테크놀로지 변화를 이해하고 업무에 적용할 수 있습니다.
•고객
니즈를 발굴하고 고객에게 가치 있는 솔루션을 제공하는 능력을
향상시켜,
더 효과적인 관계형 영업 전략을 구축할 수 있습니다.
•비즈니스
메시지 전달, 문서 작성,
프레젠테이션 및 의사결정 능력을 향상시켜, 전략적인 비즈니스 판매 및 협상 능력을 키우며, 기업 성공에 기여할 수 있습니다. |
학습 대상 |
(거시) 정보통신, 정보기술 영업 분야 실무자 (미시) 조직의 IT기술영업 담당자 (타깃) 시장 및 기업 분석, 고객 상담 등 세일즈 관련 역량을 키우고자 하는 학습자 |
학습 목표 |
1. IT 기술 관련 전반적인 지식을 바탕으로 시장을 조사 및 분석할 수 있다. 2. 고객지향적 세일즈 프로세스를 활용하여 영업 기회를 창출할 수 있다. 3. 업무에 효율성을 높이는 조직 문화를 이해할 수 있다. 4. 시장, 영업 목표, 고객을 타겟팅한 결과를 바탕으로 전략을 수립할 수 있다. |
학습내용
차시 |
내용 |
1차시 |
디지털 혁신 시대, '시장 환경 분석' |
2차시 |
시장 진입을 위한 IT 기술 동향과 '시장 환경 분석' |
3차시 |
인공지능 테크놀로지와 '시장 환경 분석' |
4차시 |
고객 니즈를 기반으로 한 '시장환경 분석' |
5차시 |
기술영업의 기초와 관계지향성의 이해 |
6차시 |
IT 영업사원의 마인드 셋 |
7차시 |
논리적 사고로 전달하는 비즈니스 메시지 |
8차시 |
IT 비즈니스의 전달력을 높이는 문서 작성 실무 |
9차시 |
임팩트있는 세일즈 프레젠테이션의 실제 |
10차시 |
IT 기술영업 준비를 위한 회의 지침과 기법 |
11차시 |
VUCA 시대, 개인과 조직의 현명한 의사결정 기법 |
12차시 |
일체감과 자율성으로 실행되는 팀 빌딩 |
13차시 |
기업 역량 강화를 위한 조직문화 만들기 |
14차시 |
벤치마킹을 통한 긍정적 조직문화 만들기 |
15차시 |
IT 기술영업을 위한 단계별 지침서 |
16차시 |
IT 미래 시장 진출을 위한 '시장 선정하기' |
17차시 |
IT 기술 '영업 목표 설정'과 고객 세분화 |
18차시 |
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과 '시장 선정하기' |
19차시 |
솔루션 구성 전략 수립'을 위한 핵심 역량 구축 |
20차시 |
기술수용 주기를 활용한 차별화된 '솔루션 구성 전략 수립' |
21차시 |
DB 영업 전술과 '솔루션 구성 전략 수립하기' |
22차시 |
전사 전략 기반 '솔루션 구성 전략 수립하기' |
23차시 |
창조적 사고 기반 IT '솔루션 구성 전략 수립하기' |
24차시 |
IT 비즈니스 수익을 높이는 '가격 전략 수립하기' |
25차시 |
S/B기업의 스마트한 '가격 전략 수립하기' |
26차시 |
IT 세일즈 협상, 숙련된 테크닉의 중요성 |
27차시 |
IT 기술 협력 파트너로서의 고객 재발견과 '사업수행 지원하기' |
28차시 |
고객사 정보 조사와 커뮤니케이션을 통한 '영업 목표 설정하기' |
29차시 |
IT 기술영업의 돌발 이슈 해결과 '사업수행 지원하기' |
30차시 |
IT 기술영업의 고객사 리스크 관리와 '사업수행 지원하기' |
|
평가기준
평가항목 |
진도율 |
시험 |
과제 |
진행단계평가 |
수료기준 |
평가비율 |
- |
60% |
30% |
10% |
- |
수료조건 |
80% 이상 |
0점 이상 |
0점 이상 |
0점 이상 |
80점 이상 |
|